기타

[디지털 액자 DIY 프로젝트] 라즈베리 파이 설정 하기

회색지붕 2022. 3. 13. 19:27
728x90

우연히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해서 디지털 액자 DIY 하는 글들을 보게 되었다. 좀 더 알아보니 은근히 많은 사람들이 제작한 것 같다.

전체 내용은 라즈베리파 이에 중고 모니터 액정을 연결하고, 나무 프레임을 주문해서 테두리를 만드는 것이다.

라즈베리 파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설정하는 건 벼롤 어렵지 않을 것 같고, 적절한 중고 모니터를 구매해서 분해하고 사이즈에 맞게 나무 프레임을 주문하는 것이 나에게는 관건이 될 것 같다.

라즈베리 파이를 주문하려고 하니 반도체 부족 여파인지 가격이 예상외로 높다. 라즈베리 파이도 중고로 구매하기로 하고 당근마켓에서 찾아보기 시작.

얼마 지나지 않아 적당한 매물이 나와서 바로 구입했다.

라즈베리 파이 3 모델 B 와 메모리카드까지 해서 3만 2천 원.

사용감이 있어 보이는 라즈베리 파이였지만, 동작만 하면 문제가 없기 때문에 별 상관은 없었다.

 

일단 집에 사용할 수 있는 모니터가 없기 때문에 TV에 연결해서 테스트 시작.

처음 구상은 구글 포토의 특정 앨범의 사진을 보여주려고 했다. 필요한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다.

-. Magic Mirror ( https://magicmirror.builders/ )

    . 화면에 여러 정보를 보여주는 프레임워크 제공. 원래 목적은 거울 뒤에 모니터 설치해서 거울에 날씨 등의 정보를 보여주는 목적인 듯.

    . 보여 줄 수 있는 정보는 기본적으로 포함된 시계, 날씨 등이 있고, 그 외 3rd party module를 이용해서 좀 더 다양한 정보를 보여 줄 수 있다.

-. MMM-GooglePhotos ( https://github.com/aneaville/MMM-GooglePhotos )

    . Magic Mirror Module  중 하나

    . 구글 포토의 특정 앨범의 사진을 일정 시간마다 변경하면서 표시

 

구글 포토에 있는 사진을 보여주면 표시할 사진 관리도 쉽을 것 같아 해당 모듈을 설치해서 테스트 중에 난관에 부딪혔다. 구글 접속 권한을 얻어야 하는데, 설명된 방식으로 하면 중간에 인증 실패가 되면서 진행이 되지 않는다. 몇 번이나 시도했으나 실패하고, App 타입을 다른 것으로 변경 후 겨우 성공. 지정한 앨범에서 사진을 잘 표시해 준다.

좋은 노래도 한두 번이라고, 가족사진만 계속 보여주는 건 심심할 것 같아 찾아보니 unsplash.com의 이미지를 표시해주는 모듈도 있다. 여기에 포함된 날씨와 시계 모듈도 매직 미러의 기본 모듈보다 좀 더 예쁜 것 같아 테스트해본다.

-. WellberryTheme ( https://github.com/delightedCrow/WallberryTheme )

    .  검색에 사용할 검색어도 지정 가능.

 

마음에 든다. 가족사진과 unsplash의 이미지 보여주는 것을 일정 시간마다 변경해 주면 기본적인 설정은 끝날 것 같다. 모듈을 좀 더 검색해 보니 아래 모듈을 사용하면 될 것 같다.

-. MMM-Scenes ( https://github.com/MMRIZE/MMM-Scenes )

 

적용해 보니 원하는 내용을 번갈아 가면서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.

Google photo 모듈 사용 시 필요한 권한은 테스트로 만든 것으로 인증받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새롭게 권한을 받아야 한다고 한다. 그러지 않으려면 권한 획득 시 입력한 앱 상태를 테스트 -> 배포로 변경해야 한다. 여기서 문제 발생.

배포로 변경하려고 하니 앱을 제출해야 하네. MMM-googlePhotos에 설명된 가이드대로 하면 되지만, 여기서 문제가 생겨 다른 앱 타입을 사용해서 그렇다. 아무리 생각해도 이 모듈은 사용하지 못할 것 같다.

결국 라즈베리 파이 내부에 저장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모듈로 변경.

-. MMM-BackgroundSlideshow ( https://github.com/darickc/MMM-BackgroundSlideshow )

   . 라즈베리 파일 내부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

 

보여줄 파일은 FTP를 이용해서 저장하면 되니 큰 문제는 없다. 부모님 댁에 선물하기 위해서라면 클라우드에 저장된 이미지를 사용해야겠지만, 이런 경우에도 꼭 구글 포토가 아니라 Dropbox 를 이용하는 모듈도 있기 때문에 나중에 필요하면 테스트해 보면 될 것 같다.

 

일단  Magic Mirror를 이용해서 가족사진과 unsplash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건 설정이 완료되었다.

이제 적절한 중고 모니터 구입해서 분해하고, 나무 프레임 주문 후 액자 만드는 것이 남았다.

 

라즈베리 파이

 

가족 사진 표시

 

unsplash 이미지 표시

 

728x90